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통계방법 무료자료

APA 형식 논문통계표 실수와 작성 팁

관리자 2025-07-01 조회수 294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논문을 작성할 때 많은 대학원생들이 자주 실수하는 부분 중

 하나인 통계표 작성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특히 SPSS나 JASP 같은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해 결과는 잘 도출했지만, 표

형식을 APA 스타일에 맞게 정리하는 부분에서 자주 지적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논문 심사를 받아보신 분이라면 “결과 해석은 괜찮은데, 

표가 학술 논문에 맞지 않는다”, “SPSS 표를 그냥 붙였네요” 같은 피드백을 받아본 적 있으실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논문 통계표 작성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실수 5가지와 

그에 대한 교정 팁을 중심으로 실전 적용 가능한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SPSS 출력표를 그대로 붙이는 실수


첫 번째로 가장 많이 하는 실수는 SPSS나 엑셀에서 생성된 표를 그대로 논문에 붙이는 것입니다.

SPSS 표는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참고하기에는 좋지만, 논문용 APA 스타일 표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줄이 많고, 셀 간 간격도 넓고, 굵은 선도 많아 가독성이 떨어지며 정보 전달이 지나치게 복잡해 보입니다.



따라서 논문에 표로 옮길때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서 깔끔해 보이도록 수정해주세요 


1. 표는 위아래 두 줄만 사용합니다. (중간 줄, 격자 없음)

2. 모든 셀은 정렬을 통일하고, 단위는 생략하거나 각주로 표기

3. 표 번호와 제목은 표 위에 작성합니다.

4. 이탤릭체를 사용하지 않고, 간결한 서술형 제목을 붙입니다.



2. 소수점 자리수를 통일하지 않음






두 번째 실수는 소수점 자리수가 통일되지 않은 통계표입니다.

어떤 셀은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어떤 셀은 셋째 자리까지 표시되어 표 전체가 들쭉날쭉해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 어떤 학생은 p값을 0.000으로 표시하기도 하는데, 이는 APA 스타일에서는 절대 피해야 하는 표현입니다.



잘못된 예시

M = 3.421, SD = 1.2

p = 0.000


소수점은 보통 둘째 자리까지 통일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p값이 .001보다 작을 경우는 “< .001”로 표시하고, 0을 앞에 붙이지 않습니다.


바른 표기

M = 3.42, SD = 1.20

p < .001


3. 약어 표기와 기호 설명 누락




세 번째 실수는 표 하단의 약어 및 기호 설명을 생략하는 것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표에 ‘M’, ‘SD’, ‘t’, ‘p’ 등을 쓰고도 독자에게 이게 무엇인지 친절히 설명하지 않거나, 

유의수준을 표기하지 않아 가독성을 떨어뜨립니다.


표 하단에는 반드시 주석 형식으로 Note를 추가하여 약어와 유의수준 기호의 의미를 설명해줘야 합니다.


예시) 

Note.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p < .05, *p < .01.


만약 표 안에 별표(*)를 써서 유의성을 표시했다면, 해당 별표의 의미도 반드시 설명해야 APA 기준에 부합합니다.


4. 표 제목과 번호 위치 오류




네 번째 실수는 표 제목의 위치와 형식입니다.

학술논문에서는 표 제목을 표 아래가 아닌 위에 작성해야 하며,

‘Table 1’ 같은 영어 표기보다는 한글 논문에서는 ‘표 1’ 같은 국문 표기 사용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제목은 너무 길게 쓰기보다 간결하게 표의 내용을 설명하는 문장형으로 작성해야 하며, 이탤릭체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잘못된 예시

Table 1. Group comparison of means (in italics, 아래에 위치)


 바른 예시

표 1

집단별 학업몰입도 평균과 표준편차


간결하고 일관된 제목 형식은 전체 논문 스타일을 깔끔하게 만들어 줍니다.


5. 필요한 정보 누락 또는 불필요한 수치 과다


마지막 실수는 표에 들어갈 정보의 과다 혹은 부족입니다.

어떤 경우는 평균과 표준편차만 있고, 통계검정 값(t, F, p 등)이 빠져 있기도 하고,

반대로 너무 많은 수치(신뢰구간, η², R² 등)를 한 표에 몰아넣는 바람에 표 자체가 복잡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표에는 독자가 판단하는 데 필요한 핵심 수치만 넣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 평균(M), 표준편차(SD), 검정값(t or F), 유의확률(p) 정도


그 외의 세부 수치는 본문에서 서술로 설명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금까지 논문 통계표를 작성할 때 자주 발생하는 실수 TOP5를 살펴보았습니다.


1. SPSS 표를 그대로 복붙하지 않기

2. 소수점 자리수는 통일하기

3. 약어와 기호는 표 하단에서 설명하기

4. 제목은 표 위에, 간결하고 단정하게

5. 지표는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게


통계표는 단순한 숫자 나열이 아니라, 연구 결과를 시각적으로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특히 논문 심사나 학술지 투고 시 표의 형식과 일관성은 내 연구의 신뢰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어요 


오늘 소개해드린 실수와 교정 팁을 잘 기억하셔서,

꼭 실수 하시지 않길 바랄게요! 



무료상담신청

논문컨설팅 No.1 드림셀파
1588-8235
1:1 무료 상담 신청 click
전화상담부터
박사급 전문가와 함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