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세요 드림셀파 논문컨설팅입니다.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아진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 몰입도가 올라간다"
이런 문장, 대학원생 여러분도 한 번쯤 논문 주제로 써보신 적 있으시죠?
하지만 이렇게 말로 표현된 개념을 그대로 가지고는 통계 분석이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논문에서 통계는 ‘문장’이 아닌 ‘측정 가능한 변수’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논문을 처음 쓰는 대학원생들을 위해,
‘개념’과 ‘변수’의 차이, 그리고 이론적 개념을 실제 변수로 바꾸는 방법을 쉽게 설명드릴게요.

왜 개념이 아니라 ‘변수’로 써야 하나요?

논문을 준비하는 많은 학생들이 연구 주제를 문장으로 시작합니다.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도 높아진다."
이 문장은 얼핏 보면 논리적이고 자연스럽지만,
문장 그대로는 측정할 수 없고, 통계 분석도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관계 만족도"가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문항과 척도로 구성될 수 있는지
가 전혀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는 이런 개념들을 ‘변수’로 바꾸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잘 해내야 통계 분석이 가능해지고, 논문 설계도 탄탄해집니다.
개념 vs 변수, 뭐가 다를까요?

개념은 연구자가 다루고 싶은 현상이나 대상을 이론적으로, 추상적인 의미로 설명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관계 만족도나 자아존중감 같은 단어들은 연구자가 주목하는 중요한 주제이지만 그대로는 수치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개념은 주로 논문의 서론이나 이론적 배경 부분에서 등장합니다.
반면에 변수는 이러한 개념을 실제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치화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관계 만족도”라는 개념을 리커트 5점 척도로 만든 문항들로 측정하면, 그것이 바로 변수입니다.
따라서 변수는 논문의 연구방법, 결과 분석 부분에서 다루어지게 됩니다.
즉, 개념은 연구의 아이디어와 의미를 담는 추상적 설명이고,
변수는 그 개념을 구체적으로 측정하여 통계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두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단계에서 다뤄지고, 논문 구조상 위치도 다릅니다.
개념을 변수로 바꾸는 3단계 공식

그렇다면, 개념을 어떻게 변수로 바꿀 수 있을까요?
초보 연구자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3단계 공식을 설명해드릴께요 차근히 잘 따라와줴요
1단계. 개념 정의

먼저,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의 이론적 정의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관계 만족도란, 어떤 사람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긍정적 정서와 평가를 의미한다.”
이런 정의는 이론적 배경 파트에서 자주 인용됩니다.
이 정의가 명확하지 않으면 변수로도 전환이 어렵겠죠.
2단계. 조작적 정의

이제 이 개념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지를 정리합니다.
이를 조작적 정의라고 해요.
“관계 만족도는 신뢰감, 만족감, 지속 의지의 3가지 하위 요소로 구성되며, 각 요소는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한다.”
즉, 추상적인 개념을 현실에서 어떤 문항으로, 어떤 방식으로 측정할지를 구체화하는 단계입니다.
3단계. 변수로 전환

마지막으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실제 변수 이름과 문항을 구성합니다.
예시:
변수명 측정 문항 예시
관계_신뢰감 "이 사람은 믿을 수 있는 사람이다"
관계_만족감 "나는 이 관계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관계_지속의지 "앞으로도 이 관계를 유지하고 싶다"
이제 이 항목들이 각각 측정 가능한 변수가 되어,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논문을 처음 쓸 때 흔히 하는 실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개념은 있는데 변수로 전환하지 않음
예: "소속감을 연구하고 싶어요" → 변수, 문항 없음
변수는 정했지만 개념 설명이 없음
설문은 돌렸지만 '자기효능감'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없음
문항과 개념이 따로 놀고 있음
개념은 자율성인데 문항은 성취도에 가까운 내용
이런 실수를 줄이려면 항상
개념 정의 → 조작적 정의 → 변수 구성
이 흐름을 따라가야 합니다.

연구는 생각으로, 분석은 측정으로
오늘 정리한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념은 연구의 출발점이지만, 변수는 실행의 출발점이다.
통계 분석은 개념이 아닌 변수 단위로 진행된다.
개념 → 조작적 정의 → 변수 전환 → 문항 작성 흐름을 꼭 따라야 한다
변수 설계를 제대로 해보고 싶다면,
드림셀파 논문통계컨설팅 무료 상담을 신청해보세요.
변수 설계부터 분석 계획까지 1:1 맞춤 진단을 도와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