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작성법 무료자료

질적연구논문 주제를 도출하는 방법 3단계

관리자 2025-09-17 조회수 68


여러분 안녕하세요. 

드림셀파 논문컨설팅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질적연구 주제에서 연구문제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를 이해하고 , 

질적연구에서 좋은 연구문제가 가지는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석사논문이나 박사논문으로 질적연구를 준비하는 분들이 계시다면 

오늘 포스팅을 집중해서 살펴봐주세요 









1.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점 

먼저, 우리가 익숙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차이부터 정리해 보겠습니다.

양적연구는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고, 미리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그래서 설문조사, 실험, 통계분석 같은 방법을 활용하지요.





자료도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주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양적연구의 전형적인 형태입니다.




반대로 질적연구는 맥락과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합니다. 

통계적 검증보다, 참여자가 어떻게 경험하고 그 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탐구합니다. 

자료도 숫자가 아닌, 언어·행동·상황에 대한 기록이나 면담 자료를 다룹니다.


예를 들어 “대학생들은 학업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을 어떻게 경험하고 의미화하는가?”라는 

질문이 질적연구의 연구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주제라도 양적연구는 ‘영향 관계’를, 질적연구는 ‘경험과 의미’를 탐구하는 점에서 확연히 차이가 있지요





2. 질적연구 주제를 도출하는 3단계 


그렇다면 질적연구 주제를 어떻게 발굴할 수 있을까요?

크게 세 단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첫째, 연구자의 관심과 경험에서 출발합니다. 

내가 실제로 궁금한 것이 무엇인지, 혹은 연구자로서 반복적으로 관찰해 온 현상이 무엇인지를 살펴야 합니다. 


둘째, 선행연구를 검토합니다. 지금까지 어떤 연구들이 있었는지, 거기에서 무엇이 밝혀졌고 

무엇이 아직 공백으로 남아 있는지를 찾아야 합니다.


셋째, 사회적 맥락을 고려합니다. 

학문적 공백이 있다고 하더라도 지금 이 시점에 연구할 필요성과 사회적 파급력이 없다면 의미가 약해지겠지요

따라서 연구자의 관심, 학문적 공백, 사회적 필요성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주제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3. 박사논문 질적연구에서 좋은 연구문제가 가지는 조건 



질적연구에서 좋은 연구문제가 가지는 조건을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질문은 항상 열린 형태여야 합니다. “예/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질문은 질적연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신 “어떻게(How)”, “무엇(What)”, “왜(Why)”로 시작하는 탐색적 질문이 필요합니다. 

둘째, 연구문제는 맥락과 과정을 드러내야 합니다. 단순히 현상의 결과를 묻는 것이 아니라, 

현상이 어떤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관점을 존중하는 질문이어야 합니다. 

연구자의 시각에서 단정 짓지 말고, 참여자가 자신의 경험을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방향으로 질문을 구성해야 합니다.





4. 나쁜 연구문제와 좋은 연구문제 


나쁜 연구문제와 좋은 연구문제를 비교해 봅시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가?”라는 질문은 질적연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미 결과를 전제로 분류하려는 질문이기 때문이지요. 

반면, “교사들은 직무스트레스를 어떤 방식으로 경험하고 극복하는가?”라는 질문은 질적연구에 적합합니다.

참여자가 실제로 경험하는 맥락과 전략을 탐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구문제로 확장하는 방법 

이제 구체적으로 연구문제를 단계별로 전환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주제로 “대학생의 완벽주의 경험”을 선택했다고 해봅시다. 


이 주제를 연구문제로 바꾸는 첫 단계는 초안 질문을 만드는 것입니다. 

“대학생은 완벽주의를 어떻게 경험하는가?”와 같이 말이지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세부 질문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완벽주의 경험이 학업과 대인관계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대학생은 완벽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가?” 같은 세부 연구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큰 질문에서 출발해 점차 구체적인 질문으로 확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제 오늘 포스팅한 내용을  정리 해볼게요 

질적연구에서 연구문제를 설정할 때 핵심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경험과 맥락을 중심으로 질문을 던질 것.

둘째, 열린 탐구 질문으로 접근할 것. 

셋째, 연구 참여자의 관점을 존중할 것.


이 세 가지 원칙을 기억하시면, 여러분의 주제를 질적연구에 맞는 연구문제로 만드실 수 있을거예요 

오늘 포스팅 내용을 잘기억하셔서 

준비하시는 박사논문, 석사논문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무료상담신청

논문컨설팅 No.1 드림셀파
1588-8235
1:1 무료 상담 신청 click
전화상담부터
박사급 전문가와 함께 합니다.